본문 바로가기

자료 공유하기

아시아 문화전당 그리고 대한민국 건축문화제

아시아 문화전당에서 대한민국 건축문화제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방문했습니다. 

지하상가 주차장에서 문화전당 쪽으로 나오면 제일 먼저 반겨주는 곳은 과거 도청앞 광장. 

역사적인 이곳이 이렇게 깔끔한 광장이 되었습니다. 

광장에는 구 도청 광장의 상징인 분수대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도청 건물의 가운데를 부수고 이러한 구조물을 만들어 두었습니다. 

아마도 이러한 용도, 즉 전시회나 공연을 알리는 용도인 것 같습니다. 



도청과 도청 사이에 이렇게 공연장으로 가는 출입구를 만들었습니다. 

아직 정리되지 않은 도청건물들의 모습이 보입니다. 



구 도청 건물의 리모델링 작업은 현재 진행중입니다.

다양한 공간이 시도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구도청 건물로 오르는 계단의 모습. 

바깥쪽으로 이렇게 계단을 빼내어 걸으며 광장을 즐기려는 이들에게 각광을 받을 것 같습니다. 



중앙광장의 모습. 

꽤 커다란 광장입니다. 

도심을 끼고 있어서 광주의 명물장소가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제 전시장으로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현관으로 들어서면 이러한 전시공간이 시작됩니다. 

앞으로 많은 박람회와 전시회가 열리게 될 것 같습니다. 

전시하는 공간이면서도 막혀있지 않은 느낌이 좋은 것 같습니다. 



이렇게 기울어진 나무바닥도 인상적입니다. 



이번 건축문화제의 주제는 도시 안에서 새롭게 시도되는 건축양식에 대한 것입니다. 

우리처럼 도심 안에서 공동체를 이루어 살려고 하는 이들의 시도가 참 많고 다양하구나 하는 것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거실안에 적극적으로 박공느낌의 책장을 만들었습니다. 




공동주택의 다양한 시도가 소개된 것이 참 좋았습니다. 



다양한 뷰가 존재할 수 있는 건축의 방식입니다. 



이렇게 집에 여러 단차를 둔 방식의 집도 있더군요.




철거된 달동네에 이러한 모양새의 집을 짓자는 시도도 있습니다. 



이웃이 함께 살 때에 어떻게 마을을 형성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스며 있습니다. 



몇명이 거주하느냐에 따라서 공간배치가 달라집니다.



달동네의 추억을 살리면서 시도되는 건축의 양식입니다. 












깨어져가는 도심공동체에서 창의적으로 대안을 찾고자 하는 건축의 시도들을 볼 수 있어서 참 좋았습니다. 

이러한 자료들을 잘 유지해 놓고서 창의적 시도에 접목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