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문화전당에서 대한민국 건축문화제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방문했습니다.
지하상가 주차장에서 문화전당 쪽으로 나오면 제일 먼저 반겨주는 곳은 과거 도청앞 광장.
역사적인 이곳이 이렇게 깔끔한 광장이 되었습니다.
광장에는 구 도청 광장의 상징인 분수대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도청 건물의 가운데를 부수고 이러한 구조물을 만들어 두었습니다.
아마도 이러한 용도, 즉 전시회나 공연을 알리는 용도인 것 같습니다.
도청과 도청 사이에 이렇게 공연장으로 가는 출입구를 만들었습니다.
아직 정리되지 않은 도청건물들의 모습이 보입니다.
구 도청 건물의 리모델링 작업은 현재 진행중입니다.
다양한 공간이 시도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구도청 건물로 오르는 계단의 모습.
바깥쪽으로 이렇게 계단을 빼내어 걸으며 광장을 즐기려는 이들에게 각광을 받을 것 같습니다.
중앙광장의 모습.
꽤 커다란 광장입니다.
도심을 끼고 있어서 광주의 명물장소가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제 전시장으로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현관으로 들어서면 이러한 전시공간이 시작됩니다.
앞으로 많은 박람회와 전시회가 열리게 될 것 같습니다.
전시하는 공간이면서도 막혀있지 않은 느낌이 좋은 것 같습니다.
이렇게 기울어진 나무바닥도 인상적입니다.
이번 건축문화제의 주제는 도시 안에서 새롭게 시도되는 건축양식에 대한 것입니다.
우리처럼 도심 안에서 공동체를 이루어 살려고 하는 이들의 시도가 참 많고 다양하구나 하는 것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거실안에 적극적으로 박공느낌의 책장을 만들었습니다.
공동주택의 다양한 시도가 소개된 것이 참 좋았습니다.
다양한 뷰가 존재할 수 있는 건축의 방식입니다.
이렇게 집에 여러 단차를 둔 방식의 집도 있더군요.
철거된 달동네에 이러한 모양새의 집을 짓자는 시도도 있습니다.
이웃이 함께 살 때에 어떻게 마을을 형성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스며 있습니다.
몇명이 거주하느냐에 따라서 공간배치가 달라집니다.
달동네의 추억을 살리면서 시도되는 건축의 양식입니다.
깨어져가는 도심공동체에서 창의적으로 대안을 찾고자 하는 건축의 시도들을 볼 수 있어서 참 좋았습니다.
이러한 자료들을 잘 유지해 놓고서 창의적 시도에 접목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자료 공유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본준 기자를 보내며 (0) | 2014.11.26 |
---|---|
성덕마을 탐방기 (0) | 2014.11.05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준공 후 개관 준비 (0) | 2014.11.05 |
목회자 이중직에 대한 고민 (0) | 2014.10.23 |
마을과 만나는 1인가구 이야기 (0) | 201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