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 생각하기

[책] 전환기의 한국교회




부목사들끼리 책나눔 모임을 하고 있다. 

아직 무르익지는 않았고 몇번 모인 정도의 수준이다. 

그리고 그 모임의 첫번째 책으로 선정된 것이 바로 전환기의 한국교회이다. 

이 책은 국제신학대원대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치는 김동춘 교수가 현대기독연구원에서 강의한 것을 모은 책이다. 


저자는 근본적으로 한국교회를 전환기로 파악한다.

현재의 한국교회는 저자의 표현에 의하면 혼돈과 좌절과 치욕스러움에 처해 있다. 

지금의 한국교회는 지독한 세속화의 문제 앞에 놓여 있다. 

무언가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저자는 여러가지 패러다임을 소개하고 그 가운데 대안이 되는 패러다임을 소개하고 있다. 

근본주의, 교회성장주의, 총체적 복음주의, 신칼빈주의, 변혁주의, 대안주의, 톨레랑스 등을 소개하고 있고 그 한계에 대해 지적도 하고 대안이 되는 패러다임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있다. 

애매하고 고민하고 있던 부분을 정리하는 것에는 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어떻게 독서해 나가야 할지에 대한 그림도 보여준다. 


저자는 기독교 세계관은 이분법의 문제를 극복할 때에 필요한 것이라고 지적한다. 

물론 현재에 이분법의 문제가 없는 것이 아니기에 여전히 기독교 세계관적 접근은 유효하나 그것보다는 교회의 세속화에 대응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교회의 세속화에 맞설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아나뱁티스트적인 접근이 내게는 인상적이었다. 

물론 나는 아나뱁티스트는 아니지만, 그러한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는 것도 정리하게 되었다. 

교회 자체가 대안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어떻게 전개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이야기를 더 들어야 하는지를 알게 되어서 유익했다. 


무엇보다도 이 책을 읽으며 부목사들의 다양한 생각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 

무언가 대안이 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만 정리되지 않았던 현실에서 이 책은 읽고 생각하게 하고 토론하기에 참 좋은 책이었다. 


혼란스러운 교회현실에서 적절한 설명논리를 얻고 싶은 이라면 일독을 권할만한 책이다.